장례 절차

장례 준비부터 마무리까지 전체적인 절차 안내

1

임종 직후 (0-2시간 이내)

사망 확인 및 신고

의료진의 사망 확인 → 사망진단서 발급 → 관할 주민센터에 사망신고 (24시간 이내)

장례식장 선정 및 연락

장례식장 연락 및 빈소 예약 → 운구차 준비 → 고인을 장례식장으로 모시기

가족 및 지인 연락

가까운 가족부터 차례대로 부고 연락 → 장례 일정 및 장소 안내

2

염습 및 입관 (1일차)

수의 및 관 준비

전통 수의 또는 평상복 선택 → 관 선택 (목관, 석관 등) → 관련 용품 준비

염습 과정

고인의 몸을 깨끗이 씻기고 수의 입히기 → 가족들의 마지막 인사

입관 및 빈소 준비

관에 모시고 뚜껑 덮기 → 영정 사진 준비 → 빈소 설치 및 조화 준비

3

조문 접수 (2-3일차)

부고 발송

부고장 작성 및 발송 → 문자, 카카오톡, 이메일 등 다양한 방법 활용

조문객 접수

상주는 빈소에서 조문객 맞이 → 조의금 접수 및 관리 → 방명록 작성 안내

식사 및 접대

조문객과 상주가족 식사 준비 → 24시간 교대로 빈소 지킴

4

발인 (장례식 당일)

발인 준비

장지 최종 확인 → 운구차 및 버스 준비 → 발인 시간 공지

장례식 진행

개식사 → 추도사 및 조사 → 조화 헌화 → 참석자 마지막 인사

운구 및 이동

관을 운구차에 모시기 → 상주 및 가족 동행 → 화장장 또는 매장지로 이동

5

하관 및 안장

화장 또는 매장

화장장 이용 시: 화장 절차 진행 → 매장 시: 하관식 거행

봉안 또는 매장 완료

화장 시: 봉안당 또는 자연장 → 매장 시: 봉분 조성 및 묘비 설치

위령제 및 성분제

고인을 기리는 마지막 의식 → 참석자들과 함께 고인 추모

6

사후 정리 및 행정처리

각종 보험 및 연금 정리

생명보험금 청구 → 국민연금 유족급여 신청 → 퇴직금 및 각종 수당 정리

금융 및 법적 절차

은행 계좌 정리 → 부동산 상속 절차 → 각종 멤버십 및 계약 해지

감사 인사 및 추모 계획

조문해주신 분들께 감사 인사 → 제사 또는 추도식 계획 수립

장례 형태별 특징

화장 (70% 이상)
비용 절약, 묘지 부족 해결, 봉안당 또는 자연장 선택 가능
매장 (전통방식)
전통적 방법, 선산 또는 공원묘지 이용, 정기적 성묘

주요 확인사항

장례 준비 시 꼭 확인해야 할 사항들:
  • 장례 기간: 일반적으로 3일장 (임종일 포함 3-4일)
  • 필요 서류: 사망진단서, 가족관계증명서, 인감증명서
  • 종교별 차이: 불교, 기독교, 천주교 등 종교에 따른 절차 확인
  • 예산 준비: 장례식장비, 관, 화환, 식사비용 등
  • 법정 절차: 사망신고, 화장허가증 등 필수 행정처리
  • 고인 유언: 생전 고인의 장례 희망사항 확인

예상 비용 안내

기본 항목
장례식장 이용료
빈소 사용료, 냉장고 사용료 등 (1일 기준)
관 및 수의
관 종류별 가격 차이, 수의 및 관련 용품
화장 또는 매장비
화장장 이용료 또는 묘지 사용료
추가 항목
조화 및 화환
근조화환, 조화 등 장식용 꽃
식사 및 접대비
조문객 및 가족 식사, 다과 등
운구 및 교통비
운구차, 버스 대여료 등